티스토리 뷰
말리는 서아프리카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 중 하나로, 금광업과 농업을 중심으로 경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다만 정치적 안정과 경제 다변화가 향후 성장의 핵심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. 한국과는 1990년 외교 관계를 수립한 이후 지속적인 경제 협력을 이어오고 있으며,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기회가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.
⬇️ 해외 국가 정보는 아래에서 무료로 열람가능합니다. ⬇️
1. 국가 기본 정보
- 위치: 서아프리카, 앙제리의 서남쪽
- 면적: 1,240천 km² (한반도의 5.6배)
- 수도: 바마코(Bamako)
- 인구: 약 2,410만 명 (2024년 기준)
- 공용어: 밤바라어(공용어), 프랑스어
- 종교: 이슬람교(94%)
말리는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로, 사하라 사막과 아열대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. 주요 민족으로는 밤바라족(33%), 풀라니족(13%) 등이 있으며, 경제와 무역 면에서 여러 산업 구조를 발전시키고 있는 신흥국 중 하나입니다.
2. 정치 및 경제 현황
(1) 정치 체제
- 독립일: 1960년 9월 22일 (프랑스로부터 독립)
- 정치 체제: 대통령중심제
- 국가 원수: 아시미 고이타(Assimi Goita) 임시 대통령
- 의회 구성: 단원제(147석)
정치적으로는 독립 이후 여러 번의 정변을 거치며 불안정한 정세를 경험하고 있으며, 현재는 임시 정부가 운영 중입니다.
(2) 경제 지표
- GDP: 217억 달러(2024년)
- 1인당 GDP: 898달러(2024년)
- 산업 구조:
- 서비스업(56%)
- 농업(32%)
- 제조업(16%)
말리의 경제는 농업과 광업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, 금과 면화가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
3. 주요 산업 및 무역 현황
(1) 산업 구조 및 주요 수출입 품목
- 주요 수출품: 금, 면화, 유지종자, 목재
- 주요 수입품: 정제유, 면직물, 방송 장비, 포장 의약품
금과 면화가 전체 수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며, 특히 금은 주요 외화 획득원 중 하나입니다. 반면 정제유, 의약품 등의 주요 소비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.
(2) 경제 성장률 및 전망
- 경제 성장률: 2024년 3.6% 예상
- 재정 수지/GDP 비율: -3.6%
- 소비자 물가 상승률: 2024년 2.5% 예상
말리는 최근 몇 년 동안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었으나, 농업 및 광업 부문의 성장이 경제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4. 우리나라와의 관계 및 투자 현황
(1) 외교 관계
- 외교 관계 수립: 1990년 9월 27일
- 주요 협정 체결:
- 경제·기술 협정(2009년)
- 대외경제기금차관협정(2011년)
한국과 말리는 1990년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, 경제 및 기술 협력 분야에서 점진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(2) 무역 현황
- 수출 품목: 자동차, 정밀화학원료, 등유 및 의약품
- 수입 품목: 곡실류, 고무제품, 플라스틱 제품
우리나라의 대(對)말리 수출 품목으로는 자동차 및 정밀화학원료 등이 있으며, 말리로부터는 곡실류 및 고무제품을 수입하고 있습니다.
(3) 투자 현황
- 2024년 6월 말 기준, 한국 기업의 말리 투자금액은 5,760만 달러로 집계되었습니다.
5. 말리의 발전 가능성과 경제 전망
말리는 광업과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갖고 있으며, 특히 금 수출이 경제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 하지만 정치적 불안정성과 낮은 산업 다변화 수준이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향후 말리는 인프라 개선 및 산업 다각화 정책을 통해 경제 성장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며,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한 교역 확대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.